• 인스타그램
  • 뉴스레터
  • 모바일
  • PET
  • 반려견과 공존하는 성숙한 문화를 만들자
  • 2018.01.19.
NOT
 이웅종 연암대 교수

 무술년 새해를 맞아 더욱 성숙된 반려문화가 우리 사회 전반에 더욱 더 안정되게 자리잡도록 개의 사회화 교육의 중요성과 공격성평가의 필요성에 대해 생각해야 할 시기다.
 어린 강아지는 어미견이나 형제와 떨어지면 낯선 환경속에서 새로운 가족에 대한 호기심과 두려움의 단계를 겪게 된다. 이 시기에 자연스럽게 사물의 소리 냄새 촉감, 사람의 소리 등을 느낄 수 있게 해줘야 하며 자연스러운 스킨쉽으로 사람의 손길에 익숙하게 해주는 것이 중요하다.
 이런 교육은 어린 시절 예방접종을 위해 병원을 방문하거나 미용을 받게 될 때 두려움을 줄여주는 아주 중요한 교육이다. 이 시기 사회화 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한다면 성견이 되었을 때 사람을 경계하거나 주변소리에 불안감을 느끼게 된다. 반려견은 다른 동물들과 달리 부모님의 감정을 고스란히 느끼는 사람과 가장 가깝게 교감하는 동물이다.
 지난해의 경우, 유독 많은 물림 사고가 발생했다. 과거와 달리 늘어난 반려견의 숫자를 생각하면 예견된 결과일지도 모른다. 하지만 늘어나는 반려견과 반려인에 비해 개와 함께 살기위한 준비는 미흡했기 때문에 생긴 문제라고 보는 것이 더욱 정확할 것이다.
  반려인은 물론 비반려인도 반려견의 성향과 공격성 등에 대해 교육을 받아야 한다. 반려견이 사회생활을 하는데 있어 서열 즉, 리더의 존재를 확실히 결정해줘야 한다. 이때 리더는 반려견을 지배하거나 군림하는 존재가 아닌 반려견을 보호하고 위험으로부터 지켜주는 존재를 말한다. 사람과 함께 생활하는 반려견에게 보호자가 리더의 역할을 하면서 더 이상 반려견이 주변 환경과 낯선 사람에게 예민한 반응을 보이거나 짖고, 무는 등 보호자를 지키는 행위를 하지 않아도 되도록 안정감을 주는 것이다.
 반려견이 공격성향을 가지고 있는지 없는지는 보호자 스스로 객관적 판단을 할 수 있어야 한다. 비반려인 역시 반려견의 수가 늘어나는 만큼 어떤 경우 공격적 성향을 보이는지 반드시 교육을 받을 필요가 있다. 사람이나 동족, 사물을 주시하고 시선을 고정하는 경우, 맹렬하게 앞으로 돌진하며 짖는 경우, 사람이 다가갈 때 몸을 웅크리거나 이리저리 피하며 짖는 경우, 입을 실룩거리는 행동을 하는 경우, 털을 새우고 시선을 한 곳에 고정하고 있는 경우, 긴장도가 높아지면 공격할 가능성이 높아 진다.
 반려견을 만났을 때는 갑작스럽게 다가가서 만지려 하거나 눈을 주시해서는 안 된다. 낯선 사람에게 예민하고 두려워하는 성격은 두려움을 공격으로 표현할 가능성이 높아 미리 사회화시기 올바른 교육을 통해 바른 사회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사회화교육 시기를 놓쳐 예민한 성격의 성견이 되었다 하더라도 충분히 교육을 통해 행동교정 할 수 있다. 함께 더불어 살아가기 위해 반려인과 반려견은 공존하는 법을 배워야 하며 비반려인 역시 함께 살아가기 위한 작은 배려가 필요한 때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