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스타그램
  • 뉴스레터
  • 모바일
  • Play
  • 헬스
  • 대장암의 씨앗 ‘대장용종’, 제거했는데 재발하는 이유는?
  • 2018.04.19.
not
- 대장용종 제거한 환자 30~60% 재발..점막하층 깊이 침범한 경우
- 용종의 크기 및 개수, 나이․성별․음주․흡연․운동 여부 따라 재발 영향
- 대장용종 내시경으로 제거했는데 계속 생기면 수술 고려할 필요
- 절주, 금연, 규칙적 운동 및 저지방 고섬유 식이 등 건강한 식생활습관을 유지해야 재발 위험 낮춰

대장용종은 대장내시경 검사 중에 가장 흔히 발견되는 병변으로 대장 점막이 비정상적으로 자라 혹이 되어 장의 안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상태를 말한다. 대장암으로 발전 가능성이 있는 종양성 용종(선종성 용종, 유암종, 악성용종)은 대장내시경절제술이나 수술을 통해 용종을 반드시 제거하도록 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성인 3명 중 1명이 대장용종이 생기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용종의 50% 정도는 대장암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있는 종양성 용종으로 크기와 상관없이 제거하는 것이 원칙이다. 그런데, 병원에서 대장내시경 검사를 통해 대장용종이 있다고 해서 절제를 했는데 나중에 다시 대장내시경을 하면 용종이 또 생기는 경우가 많다.



일반적으로 대장용종이 한번 생긴 사람이 다시 재발할 확률이 약 30~60% 가까이까지 이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장암의 씨앗이 될 수 있는 대장용종을 제거했는데도 다시 생기는 이유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정확인 원인은 확인되지 않았지만 여러 연구를 통해 다양한 원인이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지금까지 연구를 통해 밝혀진 대장용종의 재발 원인은 처음 발견된 용종의 크기 및 개수가 가장 큰 위험인자인 것으로 확인됐으며, 그 이외에 고령, 남성 및 음주, 흡연, 비만, 운동 여부 등이 용종의 재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연구되고 있다.

실제 국내 한 연구에서 대장용종 재발률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용종의 크기가 1cm 이상이거나 3개 이상의 선종이 발생한 경우 선종성 용종의 재발률이 57%로 나타났으며, 1cm 미만의 선종이 2개 이하일 경우 46%의 재발률을 보이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다른 연구에서는 용종이 발견된 사람 중 남성이 여성에 비해 3배 정도 많은 가운데, 운동을 하지 않는 사람은 운동을 하는 사람에 비하여 9.24배, 음주자는 비음주자에 비하여 5.22배, 흡연자는 비흡연자에 비하여 2.35배 가량 용종 발생 위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대학교병원 대장항문외과 박병관 교수는 “대장용종의 재발 원인은 앞선 대장내시경 검사에서 발견된 용종의 크기 및 개수와 나이, 성별, 흡연, 음주, 비만, 운동 여부 등의 생활습관이 용종의 재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말하며, “그렇기 때문에 정기적인 대장내시경 검사와 함께 절주, 금연, 규칙적 운동 및 저지방 고섬유 식이 등 건강한 식생활습관을 유지하는 것이 대장용종의 재발을 낮추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실제 미국 국립암연구소에서 대장암의 예방 및 대장용종의 재발 방지를 위해 하루 전체 열량 중 지방질 섭취에 의한 열량을 30% 이하로 줄이고, 일일 섬유소 섭취량을 30g까지 높이는 한편, 여러 가지 야채와 과일을 매일 섭취하고, 비만을 피하고, 절주와 금연과 함께 적어도 하루 800mg 이상의 칼슘을 섭취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

한편, 대장용종 재발의 또 다른 요인으로 이전 대장내시경 검사에서 미쳐 용종을 발견하지 못했거나, 초기에 용종을 절제할 당시 대장용종 자체를 충분하고 매끈하게 잘 떼지 못하고 용종이 커 용종과 정상 대장점막 조직과의 여유가 거의 없이 제거되어 떼어낸 가장자리는 깨끗하지만 암이 점막아래 층 깊은 곳까지 침범하였거나 암 주위 림프관이나 혈관에 암 세포가 있는 경우 대장용종이 재발할 수 있다.

실제 중앙대학교병원에서 대장용종을 제거하고 대장암으로 진단되어 대장절제 수술을 받은 환자들을 분석한 결과, 약 16%의 환자가 수술 후 대장암 주위 림프절에서 암 전이가 발견되었고, 약 32% 환자는 대장에 여전히 종양이 남아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중앙대병원 대장항문외과 박병관 교수는 “대장내시경으로 용종을 때어냈더라도 혹의 뿌리가 상대적으로 깊다던 지, 떼어낸 부분에 암 조직이 여전히 남아있거나, 암 조직 유무가 불분명하면 대장암 조직 근처의 림프절에 암이 전이 되었을 가능성도 있기 때문에 대장용종이 계속적으로 재발하면 그 부위 대장을 수술로 절제하는 방법을 고려해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사진설명: 중앙대학교병원 대장항문외과 박병관 교수가 대장암 복강경 절제수술을 시행하고있다. 사진제공: 중앙대학교병원]

김태열 기자/kty@heraldcorp.com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