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스타그램
  • 뉴스레터
  • 모바일
  • Play
  • 헬스
  • [장애인의 날] 신장장애인의 혈액투석, 투석혈관 관리 핵심
  • 2021.04.18.

[헤럴드경제=건강의학팀]매년 4월 20일은 ‘장애인의 날’이다. 대중의 장애인에 대한 이해를 깊게 하고, 장애인의 재활 의욕을 고취시키기 위해 제정됐다. 장애의 유형은 다양하다. 일반적으로는 지체장애·시각장애·청각장애·지적장애 등을 떠올리기 마련이다. 하지만 국내 법정장애로 등록된 장애 유형은 이보다 훨씬 다양하다. 외적으로 보이는 문제 뿐만 아니라 신장장애, 심장장애, 호흡기장애, 간(肝)장애, 장루·요루장애(배변배뇨기능)와 같은 내적 불편함을 유발하는 장애도 있다. 대표적으로 ‘신장장애’를 들 수 있다. 하지만 겉으로 잘 티가 나지 않고, 일반인에게도 잘 알려져 있지 않아 인식의 제고가 필요하다.

▶만성신부전·콩팥이식자, ‘신장장애’ 속해=신장(콩팥)은 인체의 ‘정수기’로 불린다. 혈액 속의 노폐물을 걸러 소변으로 내보내고 체내 항상성 유지를 돕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이 신장 기능에 이상이 생긴 경우, 삶의 질이 크게 떨어지며 심한 경우 사망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민트병원 혈관센터 배재익 대표원장(인터벤션 영상의학과 전문의)은 “콩팥은 기능이 반 이하로 떨어질 때까지 별다른 증상을 보이지 않아 더욱 주의가 필요한 장기”라며 “또 한 번 손상되면 회복이 불가능해 평소 의심 증상을 주의 깊게 살피고 생활습관 개선을 통해 예방하는 것이 최선”이라고 강조했다.

신장기능이 떨어지면 체내 수분량이 일정하게 조절되지 못해 부종이 나타나고 이후 콩팥 기능이 손상돼 소변으로 배출돼야 할 노폐물이 혈액속에 축적되는 ‘요독증’이 심해지면 만성콩팥병(말기신부전)으로 악화된다. 이 상태에 이르면 체내 노폐물이 쌓이면서 피로하거나 혼미한 상태가 지속되고 뼈가 약해지거나 심장박동이 불규칙해지는 부정맥 등도 발생할 수 있다.

신장 기능이 저하됨에 따라 만성신부전 상태가 되어 혈액투석·복막투석을 받거나 신장을 이식 받은 경우 신장장애인에 속하게 된다. 신장장애인은 2000년부터 장애등록에 나선 이후 해마다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주로 고혈압과 당뇨, 사구체신염, 사고로 인한 합병증과 건강 악화 등의 원인으로 꼽힌다.

▶혈액투석 환자는 일주일 중 3회 4시간씩 투석=만성콩팥병에 이르면 받아야 하는 신대체요법 중 가장 많이 하는 것이 혈액투석이다. 혈액투석 시에는 투석을 받는 통로인 ‘투석혈관’이 매우 중요하다. 배재익 원장은 “동맥과 정맥을 인위적으로 연결해 많은 양의 혈액이 오갈 수 있도록 조성한 투석혈관은 영구적으로 쓸 수 없기 때문에 최대한 잘 관리하여 오래 쓸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투석혈관의 평균 수명은 2~5년으로 길지 않은 편인데, 이는 투석을 하는 과정에서 혈전이 생기고 혈관벽이 약해져 쉽게 손상되기 때문이다. 막힌 혈관은 인터벤션 혈관개통술로 치료해 다시 사용할 수 있지만 이미 혈관이 많이 막힌 뒤라면 치료가 어렵다. 평소 투석을 하면서 팔이 붓고 지혈이 잘 안되거나, 혈관을 만져봤을 때 ‘스르르’하는 진동이 아닌 ‘쿵쿵쿵’하는 박동이 들린다면 투석이 되더라도 검진을 미리 받는 것이 중요하다.

만성콩팥병 환자는 평소 먹는 음식에도 주의를 기울여야한다. 지나친 염분 섭취를 피하고 칼륨, 인의 섭취량을 조절해야 한다. 일반인이라면 건강에 좋은 과일, 단백질도 조심해서 섭취해야 한다. 무리한 운동도 금물이다. 운동을 심하게 하면 손상된 근육세포에서 칼륨, 인, 단백질 등이 혈액 속에 녹아 들어 콩팥으로 흘러 들어갈 수 있다. 신장 환자에게 추천되는 최고의 운동은 걷기다. 백세 시대를 마냥 건강하게만 보내는 것은 모든 이에게 쉽지 않은 일이다. 비록 신장장애를 갖고 있더라도 건강한 식습관, 생활습관을 지키고 투석혈관 관리, 정기검진을 잘 유지한다면 더 나은 일상을 영위할 수 있다.

/onlinenews@heraldcorp.com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