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스타그램
  • 뉴스레터
  • 모바일
  • Play
  • 헬스
  • 골다공증성 골절, 체지방이 진짜 문제
  • 2021.11.18.
서울대병원 이경실 교수팀, 29만명 추적 관찰

비만은 만성질환, 심뇌혈관질환 등 만병의 근원이지만 골다공증이나 골다공증성 골절에는 비만이 오히려 보호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있다. 뼈에 무게가 어느 정도 가중되는 것이 골밀도를 올리기 때문이다. 하지만 복부비만이 골다공증골절 위험이 높다는 연구도 있어 명확한 결론을 내리기 어려웠다.

국내 연구팀이 체성분과 골다공증성 골절 위험과 관계를 분석한 결과 근육량이 많으면 골다공증성 골절 발생 위험이 낮았고, 체지방량이 많으면 특히 척추골절 위험이 높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서울대병원 가정의학과 이경실 교수팀이 국민건강보험 빅데이터를 활용해, 총 290,013명(남자 158,426명/ 여자 131,587명)을 평균 3년간 추적 관찰한 결과 이 중 총 8525건의 골다공증 골절이 발생했다. 정확한 통계를 위해, 반복된 골절은 제외하고 최초 골절 발생만을 집계했다. 연구팀은 표본의 나이, 성별, 체중, 허리둘레, 운동, 흡연, 음주 등을 수집하고, 예측식을 통해 몸 전체 근육량, 팔다리 사지근육량, 체지방량을 계산했다. 이후 이를 기준으로 표본을 5개 그룹으로 분류했다.

연구에 따르면, 몸 전체 근육량이나 팔다리 근육량이 많으면 골다공증성 전체 골절 위험이 감소했다. 반대로 체지방량이 많으면 특히 척추골절 위험이 높았는데, 이는 여성에서 더 두드러졌다.

몸 전체 근육량이 가장 높은 그룹은 가장 적은 그룹에 비해, 총 골다공증성 골절 발생위험이 남녀 각각 37%, 28% 낮았다. 사지근육량이 가장 많은 그룹은, 가장 적은 그룹에 비해 총 골다공증성 골절 발생위험이 남녀 각각 38%, 29% 감소했다. 체지방의 경우, 체지방이 높은 그룹은 척추골절 위험이 특히 높았다. 여성에서 두드러져, 골다공증성 척추골절 위험이 66% 높았다.

이경실 교수는 “이번 연구는 체내 근육량과 골다공증성 발생 간 관계를 입증했다”며 “진료를 하다보면 ‘골절에는 체중이 나가는 것이 좋다’고 알고 있는 환자들이 많은데, 체중이 나가더라도 근육량이 많아야하지 지방이 많은 것은 골절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밝혔다. 김태열 기자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