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스타그램
  • 뉴스레터
  • 모바일
  • Play
  • 헬스
  • 중환자실 사망율 22% 줄이는 비법…전담전문의 고용
  • 2023.07.13.
분당서울대병원 마취통증의학과 송인애·오탁규 교수팀
코로나 19 중환자 사망률 평균 28% 낮춰

분당서울대병원 마취통증의학과 오탁규 교수(좌), 송인애 교수(우).

[헤럴드경제(성남)=박정규 기자]분당서울대병원 마취통증의학과 송인애·오탁규 교수팀이 중환자실에 전담전문의가 있으면 중환자들의 사망률을 평균 22%까지 낮출 수 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환자의 단·장기 생존율을 개선하기 위해서 전담전문의 고용이 필요한 점을 시사한다.

전담전문의 제도는 중환자의학 전문의가 주5일 이상 평일 낮 시간대의 중환자실에 상주하는 제도다. 환자 상태에 대한 전문적인 조언과 치료 방향성을 신속하게 결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2009년 대한중환자의학회에서 처음으로 전담전문의 제도와 양성 시스템을 도입한 이래로 현재 국내에는 2022년 기준 1774명 전담전문의가 있다.

[분당서울대병원 제공]

정부는 2015년부터 전담전문의가 있는 병원에 특별지원 등 보상체계를 마련했지만 관련 보상은 적어 전담전문의를 고용한 병원은 많지 않은 실정이었다. 2020년 국내 중환자실 적정성 3차 평가에 따르면 전담전문의 1인당 중환자실 병상 수는 평균 22.2병상이다. 미국에서 권고하는 7.5병상보다 약 3배정도 많았다.

송인애·오탁규 교수팀은 전담전문의의 중요성을 밝히고자 전담전문의 유무에 따른 중환자 사망률을 비교하는 연구를 시행했다.

연구는 건강보험공단 자료를 활용해서 2016년부터 2019년까지 중환자실에 입원한 114만7493명과 2020년 10월부터 2021년 12월까지 코로나19로 중환자실에 입원한 1만3103명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연구 대상에 중증 코로나19 환자가 추가된 이유는 코로나19와 같은 팬데믹 상황에서 전담전문의의 중요성을 알아보기 위함이다. 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자들은 산소치료가 불필요한 환자(1급)부터 승압제 사용 및 투석 또는 에크모 사용이 필요한 환자(6급)와 급성호흡곤란증후군 진단까지 나눠서 사망률을 분석했다.

그 결과 전담전문의에게 치료를 받은 중환자의 비율은 2016~2019년은 42%, 2020~2021년은 20.2%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담전문의의 치료를 받은 환자들의 중환자실 내 사망률은 전담전문의의 치료를 받지 않은 환자들에 비해 평균 22% 감소했다. 1년 내 사망률은 15% 감소했다. 코로나19로 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자들의 사망률은 평균 28%까지 낮아졌다. 특히 질병 예후가 좋지 않아 사망률이 높은 급성 호흡곤란 증후군(ARDS) 환자의 사망률은 36% 감소했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