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
-농촌경제연구소 “우리 농업 영향…지속적인 모니터링 필요”
자유무역협정(FTA) 체결로 해외 농축산물의 수입이 급증하는 가운데 ‘특수’를 겨냥한 인기 품목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외국산 농축산물의 국내 수입이 일정 수준 자유로워지면서 우리 농축산물 시장은 물론 식생활 문화까지 지대한영향을 미치는 때문이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은 2011년부터 지난해까지 FTA 발효에 따른 농축산물 수입 동향을 토대로 수입이 급증한 제품들을 소개하고 증가세의 배경을 분석했다.
쇠고기 신선 고급육은 수입산의 가격 경쟁력이 강화되고 소비패턴이 다변화되면서 미국산을 중심으로 수입이 급증했다. 2013~2017년 전체 쇠고기의 연평균 수입증가율은 8.3%였으며, 이 기간 쇠고기 신선고급육의 경우 연평균 20.6%의 증가세를 보였다. 쇠고기 신선 고급육은 대부분 미국과 호주산으로, 지난해 미국산 수입량(4만1000t)이 처음으로 호주산(3만2000t)을 앞질렀다.
양고기는 조리방법이 다양화되고 전문식당들이 국내 소비자 취향을 공략하면서 전체 시장이 확대되고 수입이 급증했다. 2013~2017년 양고기 수입량은 4290t에서 1만5028t으로 증가해 연평균 36.8%의 증가율을 기록했다.
아보카도는 전 세계적으로 웰빙푸드로 주목받으면서 국내에서도 수입이 크게 늘었다. 2010~2017년 아보카도 수입량은 457t에서 5979t으로 늘어나 연평균 44.4%의 증가율을 보였다.
레몬은 체내 해독요법으로 레몬 디톡스가 주목을 받고 레몬을 활용한 식품이 보편화하면서 수입이 증가했다. 2010~2015년 레몬 수입량은 5631t에서 1만7793t으로 증가해 연평균 증가율이 25.9%를 기록했다.
아로니아는 영양분이 풍부한 천연 건강식품으로 인식돼 폴란드산 분말 형태로 수입이 급증했다. 2014년 아로니아 수입량은 2t에 불과했으나 지난해는 520t까지 늘었다.
브라질너트는 항암 작용과 만성피로 해소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인기를 끌었다. 2013년 3t에 그쳤던 브라질너트 수입량은 지난해 2475t까지 늘어 국내 견과류시장 트렌드를 주도하고 있다.
KREI는 “소득수준이 향상되고 외국 식문화 정보 공유가 확산하면서 잘 알려지지않았던 품목의 수입이 급증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며 “농축산물 수입구조뿐만 아니라 국내 농업 생산구조 변화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황해창 기자/hchwang@heraldcorp.com
-농촌경제연구소 “우리 농업 영향…지속적인 모니터링 필요”
자유무역협정(FTA) 체결로 해외 농축산물의 수입이 급증하는 가운데 ‘특수’를 겨냥한 인기 품목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외국산 농축산물의 국내 수입이 일정 수준 자유로워지면서 우리 농축산물 시장은 물론 식생활 문화까지 지대한영향을 미치는 때문이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은 2011년부터 지난해까지 FTA 발효에 따른 농축산물 수입 동향을 토대로 수입이 급증한 제품들을 소개하고 증가세의 배경을 분석했다.
쇠고기 신선 고급육은 수입산의 가격 경쟁력이 강화되고 소비패턴이 다변화되면서 미국산을 중심으로 수입이 급증했다. 2013~2017년 전체 쇠고기의 연평균 수입증가율은 8.3%였으며, 이 기간 쇠고기 신선고급육의 경우 연평균 20.6%의 증가세를 보였다. 쇠고기 신선 고급육은 대부분 미국과 호주산으로, 지난해 미국산 수입량(4만1000t)이 처음으로 호주산(3만2000t)을 앞질렀다.
양고기는 조리방법이 다양화되고 전문식당들이 국내 소비자 취향을 공략하면서 전체 시장이 확대되고 수입이 급증했다. 2013~2017년 양고기 수입량은 4290t에서 1만5028t으로 증가해 연평균 36.8%의 증가율을 기록했다.
아보카도는 전 세계적으로 웰빙푸드로 주목받으면서 국내에서도 수입이 크게 늘었다. 2010~2017년 아보카도 수입량은 457t에서 5979t으로 늘어나 연평균 44.4%의 증가율을 보였다.
레몬은 체내 해독요법으로 레몬 디톡스가 주목을 받고 레몬을 활용한 식품이 보편화하면서 수입이 증가했다. 2010~2015년 레몬 수입량은 5631t에서 1만7793t으로 증가해 연평균 증가율이 25.9%를 기록했다.
아로니아는 영양분이 풍부한 천연 건강식품으로 인식돼 폴란드산 분말 형태로 수입이 급증했다. 2014년 아로니아 수입량은 2t에 불과했으나 지난해는 520t까지 늘었다.
브라질너트는 항암 작용과 만성피로 해소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인기를 끌었다. 2013년 3t에 그쳤던 브라질너트 수입량은 지난해 2475t까지 늘어 국내 견과류시장 트렌드를 주도하고 있다.
KREI는 “소득수준이 향상되고 외국 식문화 정보 공유가 확산하면서 잘 알려지지않았던 품목의 수입이 급증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며 “농축산물 수입구조뿐만 아니라 국내 농업 생산구조 변화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황해창 기자/hchwang@heraldcorp.com
Most Read Stories
REAL FOODSPREMIUM
MARKET TRENDS
November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