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스타그램
  • 뉴스레터
  • 모바일
  • Play
  • 웰빙
  • ‘이한치한’ 냉면을 겨울에 즐긴 이유는
  • 2019.01.21.
[리얼푸드=민상식 기자] 올 겨울에도 차가운 식품을 섭취하면서 추위를 버티는 사람이 많습니다. 이한치한(以寒治寒)이라고 하죠.

요기요에 따르면 지난해 11월부터 두 달간 냉면과 냉모밀, 빙수, 아이스크림, 아이스 커피 등 찬 음식들의 주문 수가 전년 동기대비 151% 늘었습니다.

여름 음식으로 잘 알려진 냉면은 사실 이한치한의 대표 음식입니다. 평양냉면과 함흥냉면은 북한에서 메밀 수확 시기에 맞춰 겨울에 즐기던 음식입니다. 평양냉면은 겨울철에 몸을 덜덜 떨면서 이불을 뒤집어쓰고 먹어야 제맛이라 ‘평양 덜덜이’라고도 불립니다. 


조선시대에도 겨울철에 냉면을 즐겼습니다. 조선 후기 문인인 홍석모가 풍속을 설명한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에서는 냉면을 11월 동짓날에 먹는 음식이라고 기록하고 있습니다.

조선 중기의 문인 장유(1587∼1638년)는 그의 시 자장냉면(紫漿冷麵)에서 냉면을 묘사했는데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자줏빛 육수는 노을빛처럼 비치고 옥색의 가루가 눈꽃처럼 흩어진다. 젓가락을 입에 넣으니 그 맛이 입속에서 살아나고 옷을 더 입어야 할 정도로 그 차가운 기운이 온몸을 뚫는다.”

조선 시대의 냉면 육수에는 동치미 국물, 콩물, 꿀물, 오미자 국물 등이 있습니다. 자줏빛 육수는 오미자를 우려낸 육수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우리 선조들은 왜 차가운 냉면을 겨울철에 즐겼을까요. 냉면의 역사를 담은 책 ‘냉면열전’에 따르면 냉면이 겨울 음식이었던 이유는 가장 중요한 재료인 메밀이 여름보다 겨울에 맛있기 때문입니다.


메밀은 과거 겨울철에 저장해 먹을 수 있는 몇 안되는 작물이었습니다. 메밀은 수확하는 시기에 따라 여름 메밀과 가을 메밀로 나뉘는데, 주로 재배되는 재래 품종은 가을 메밀이었습니다.

또 메밀을 면으로 만들면 푸석하고, 뜨거운 물에 넣으면 쉽게 풀어져 버립니다. 이에 동치미 등 차가운 국물에 메밀 면을 넣어 먹은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이한치한 식품의 효능은 어떨까요. 동의보감에는 냉면의 주재료인 메밀과 무는 성질이 차갑지만, 위장을 튼튼히 해준다고 기록돼 있습니다.

하지만 찬 음식을 먹으면 배가 아프거나 과민성 장 증후군이 있는 사람은 겨울철 찬 음식에 주의해야 합니다.

mss@heraldcorp.com

관련기사